본문 바로가기

畵羅cahier du cinema

<경멸> 장 뤽 고다르 (1963), <이유 없는 반항> 니콜라스 레이 (1955)

  담배를 끊는 것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하다. 다가올 담배값 인상을 대비하고 건강을 염려하는 차원에서 영화 1편을 볼 때마다 1개피를 피우기로 결심 하였다.

 


  1) 고다르 <경멸>을 보았다. 거실-욕조를 왔다갔다 하면서 부부싸움 하나를 이렇게 오래 끌 수 있음에 감탄하였다. 결말을 배신하는 방법 또한. 하지만 고다르 영화는 자막을 주의 깊게 보지 않으면 무슨 얘기를 하고 있는지, 왜 싸우고 있는지 따라가기가 힘들다. 나중에 다시 볼 기회가 생길 것이다. 뭔가 페미니즘적인 주제를 자주 다루곤 하는데, Tout va bien에서 보여주는 힘(연출이나 주제 면) 없다. 68이 대단하긴 대단했나 보다 싶을 정도.



  2) <이유없는 반항(Rebel without a cause)>을 보았다. 먼저 본 고다르 영화에서 니콜라스 레이와 시네마스코프 언급이 있어서 그냥 봤다. 제임스딘 나오기도 하고. 1955년 제작되었다. 별볼일 없는 아버지, direct answer를 내놓으라고 요구하는 자식 세대 간의 갈등. 여기서 젊은이들은 하나같이 어딘가 모자라거나 정서적으로 불구가 된 것으로 묘사된다. 처음 짐이 길바닥에 엎드려 원숭이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장면부터 경찰서에 즐비한 젊은이들, 어딘가 나사가 빠진 듯한 주디의 친구들. 이들의 광적인 유희는 치킨런 게임의 비극으로까지 이어진다. 이 세대에게 아버지라는 종족은 언제나 부재하거나 적어도 있으나마나한 것이다. 짐의 아버지가 전쟁에 의해 거세되었다고 한다면 주디의 아버지는 정반대의 신경질적인 전쟁광이라 할 수 있다.(그러므로 둘의 만남은 필연적이면서도 아이러니이다.) 플라토야말로 가장 문제적인 인물인데, 그의 아버지는 '뉴욕의 거물' 혹은 '전쟁 영웅'으로 묘사되고 있지만 이미 죽은 사람이고 그의 어머니는 이 아들, 위대한 '플라톤'을 포기하고 떠나버렸다. '레이'라는 극중 이름으로 등장하는 경찰이 이런 간격을 극복해주는 세대 간의 소통 통로가 될 것처럼 보이나 그는 짐이 자신을 필요로 할 때 정작 다른 일을 하느라 바쁘고 항상 일이 벌어진 후에야 등장한다.(정확히 아이가 어른을 보는 관점이다. 어른들은 도저히 쓸데가 없는 것이다.)


  주디와의 사랑과 함께 낭만주의적인 결말을 맺으리라는 예상을 했지만 웬걸, 영화는 흑인 보모의 못마땅한 얼굴로 영화는 거의 마무리된다. 사랑은 인간을 구원하지 못한다. 아니 대부분의 인간에게 그것은 구원의 방해물이다. 크고 빈 성, 각자의 방에 들어갈 뿐인. 초라하고 거대한 빈 집. 자장가는 자신을 버린 어머니의 노래이고 믿었던 친구(아버지)는 여자와 사실상 도망가버리는. 플라토의 세계는 이제 여기로부터 천문대로 이동한다. 그곳은 가상이 완성되는 곳, 즉 죽음의 의식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밖은 우리에게 "너무 밝다". 존재에 이유가 필요할까? 하물며 반항에는?